이사를 앞두고 있거나 이사를 하지 않더라도 한 번쯤 집 안을 정리할 때가 있죠. 그러다 보면 재활용이 되지도 않고 종량제 봉투에도 버릴 수 없는 물건들이 많이 있습니다. 소형가전이나 대형가전의 경우 무상수거하는 업체들이 있는데요. 가전제품이 아닌 물건들은 폐기물 스티커를 부착하고 버려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가전제품과 함께 폐기물 쓰레기 버리는 방법을 정리해 봤습니다.
폐가전제품 버리는 방법
대형가전 무상방문 수거
대형 전자제품의 경우 새로 구매할 경우에는 기존 폐가전을 자체 수거해갑니다. 새로 구매하지 않고 버리는 것이라면 대형 폐가전 무상수거를 신청하여 버리면 됩니다. 온라인이나 전화로 신청할 수 있고요. 소형가전의 경우에는 품목이 5개 이상일 경우 방문수거해 가기 때문에 대형가전 버릴 때 같이 버리면 편리합니다.
폐가전 방문수거 배출예약시스템
폐가전 방문수거 배출예약시스템
15990903.or.kr
소형가전 수거함
아파트에 살고 있다면 아파트마다 수거함이 따로 있거나 재활용 분리수거하는 날 자체적으로 내놓는 장소가 있습니다. 이는 관리사무소에 문의해보시면 됩니다. 아파트가 아니라면 주민센터나 삼성디지털플라자, LG베스트숍, 롯데 하이마트 등에 소형가전제품 수거함이 있습니다. 이곳에 버리면 됩니다.
비데를 구매했는데 비데의 경우 기존제품을 수거해가지 않더라고요. 설치기사님은 폐기물로 신고하고 버리라고 했는데 비데는 대형가전에는 속하지 않지만 소형가전으로 버려도 될 것 같아서 찾아봤어요. 온라인 상에서는 폐기물로 버렸다는 사람, 소형가전으로 버렸다는 사람 두 가지 답이 다 있었습니다. 다량 배출 가능품목 수거품목을 보니 전기비데가 있어요. 다른 제품은 버릴 것이 없어서 소형가전 수거함 버리는 곳에 전화해서 비데 버려도 되는지 확인하고 소형가전 수거함에 버렸습니다.
폐기물 버리는 방법
재활용이나 가전제품이 아닌 경우에는 폐기물로 신고하고 돈내고 버려야 합니다. 사는 지역마다 쓰레기 버리는 금액이 다른데요. 사는 곳의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대형폐기물 배출 수수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돈 내고 버려야 하니 버리기 전에 재활용 가능한지 무상수거 가능한 제품인지 한번 더 확인하는 게 필요해요.
폐기물 신고방법은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하여 폐기물 스티커를 구매하고 부착하여 버리는 방법도 있지만 온라인이나 앱을 통해서 간단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종로구청 홈페이지에 들어가봤습니다. 메인페이지에 [대형생활폐기물] 메뉴가 있어요. 다른 구청 홈페이지도 메인 페이지에 폐기물 관련 메뉴가 있습니다.
간편배출 신청하기를 통해 카드결제나 계좌이체로 수수료를 납부하고 신고필증 부착 후 배출하거나 지역별 폐기물 수거 업체에 전화로 신청하고 납부 후 배출할 수 있습니다. 배출일을 선택하고 배출장소는 지정된 장소에 내놓으면 됩니다. 배출하면 2-3일 내로 수거해 갑니다. 신고필증은 출력하지 않고 종이에 신고번호 써서 테이프로 부착해도 됩니다.
폐기물 스티커 가격
폐기물 가격은 지역마다 다르니 한번 참고만 해보세요. 홈페이지에서 품목이나 수수료 조회를 통해 폐기물 쓰레기 비용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품목이 나와있지않아요. 그럴 경우 수거업체에 전화로 문의하면 가격을 알려줍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업체에서 말해준 가격과 같은 품목을 선택하고 비고란에 실제 버리는 품목을 썼습니다.
[여기로]라는 어플에서는 지역별 품목 수수료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사는 지역을 선택하고 품목을 선택하면 자세한 금액을 알 수 있어요. 소파의 경우 1인용 기준 4,000원, 2인용의 경우 7,000원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주민센터 방문 필요없이 홈페이지나 앱으로 손쉽게 결제하고 버릴 수 있습니다. 만약 폐기물 스티커를 부착하고 버렸는데 수거 전에 다른 누군가가 가지고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폐기물 업체에 전화하여 해당 품목을 환불 신청할 수 있습니다.
폐기물 신고할 때도 폐기물 신고예정인데 필요한 분은 가져가라고 쓰인 종이를 2일 정도 붙여놓았더니 가져가신 분이 꽤 있어서 폐기비용을 절약할 수 있었습니다. 나에게는 필요 없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필요한 물건일 수 있습니다. 폐기물로 버리기 전에 중고마켓을 통한 판매나 나눔을 해서 쓰레기를 줄여봐요.
'일상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에어컨 청소 관리법 (1) | 2025.04.05 |
---|---|
겨울철 적정 실내온도 난방비 아끼는 방법 (0) | 2025.04.04 |
탄소중립포인트 가입 적립방법 포인트지급 (1) | 2025.03.17 |
한글무료폰트 다운로드 방법 상업적 이용가능 (0) | 2025.03.08 |
GS25 반값택배 가격 배송기간 보내는 방법 (0) | 2025.03.08 |